본문 바로가기

컴퓨터/Java

System.out.printfln() Java[자바]

Java에서 System.out.printfln()함수는 C언어에서의 printf()와 같은 역할은 한다.

class Ideone
{
	public static void main (String[] args)
	{
		System.out.println("Hello World!");
	}
}

 

 

숫자나 문자 그리고 문자열을 출력할 때 사용하는데 printf() 조금 다른 점이 있다면 숫자를 출력할 때 printf()같은 경우에는 작은 따옴표를 사용하여 출력하는데 System.out.println() 작은 따옴표를 사용하지않아도 출력이 가능하다.

class Ideone
{
	public static void main (String[] args)
	{
		System.out.println(1);
	}
}

 

 

그리고 Java에서는 문자와 문자열을 출력할 때 명확하게 구분을 하는데 문자는 작은 따옴표를 사용하고 문자열은 큰 따옴표를 사용한다.

class Ideone
{
	public static void main (String[] args)
	{
		System.out.println('문');
		System.out.println("문자열");
	}
}
class Ideone
{
	public static void main (String[] args)
	{
		System.out.println('문자열');	//문자열을 문자로 표현해서 에러 발생
	}
}

 

 

그리고 +를 이용하여 숫자나 문자 그리고 문자열을 이어붙여서 출력이 가능하다. 그런데 문자끼리 사용하는 것과 문자와 숫자만 합치는 것은 이어붙어서 출력되는 형식이 아닌 계산이 된다. 참고로 A의 아스키 코드값은 65이다.

class Ideone
{
	public static void main (String[] args)
	{
		System.out.println("문자"+"열이다.");	//문자열이다.
		System.out.println("문자"+'열');	//문자열
		System.out.println("문자"+1);		//문자1
		System.out.println("문자"+1+'열');	//문자1열
		System.out.println('A' + 'A');		//130
		System.out.println('A' + 1);		//66
		System.out.println(1 + 1);		//2
	}
}